Web
Web
App
App
뷰티
뷰티
커머스
커머스
SaaS
SaaS

SLEB

브랜드와 소비자를 잇는 브랜드 중심 이커머스 SaaS 플랫폼

SLEB은 브랜드와 소비자를 연결하는 뷰티 플랫폼이에요. 막 시작한 브랜드부터 성장 단계에 있는 브랜드까지, 누구나 쉽게 입점해 상품을 선보이고 협업을 통해 기회를 넓혀갈 수 있어요. 또 상품 관리, 마케팅, 리뷰, 정산까지 이어지는 엔드투엔드(End-to-End) 사이클을 제공해 브랜드가 효율적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해줘요.

Client:

SLEB

Year:

2025

Design:

Framer

Development:

Next.js (App Router), React, TypeScript, Tailwind CSS, HeroUI (@heroui/react), TanStack Query, Zustand, React Hook Form + Zod, Django + Django REST Framework, Python 3.11, PostgreSQL, Docker, Nginx, JWT (SimpleJWT), AWS, Poetry, Google Maps API, Swiper, JavaScript

Service

특히 SLEB은 단순한 커머스가 아니라, 브랜드와 유저가 함께 만들어가는 리뷰 생태계를 핵심으로 하고 있어요. 브랜드는 소비자의 리뷰를 통해 제품을 알리고, 협업을 통해 홍보 효과를 얻을 수 있어요. 반대로 유저는 제품을 직접 사용하고 리뷰를 작성해 수익을 얻으며, 성과에 따라 추가 인센티브도 받을 수 있어요. 이 과정을 통해 탄생하는 슬렙 메이트(SLEB Mate)는 단순한 소비자가 아니라 브랜드와 함께하는 협업 파트너로 자리 잡게 돼요.

Design 이미 다양한 뷰티 서비스 시장(올리브영, 지그재그, 에이블리 등)이 존재하고 있지만, 슬렙은 여기서 어떻게 차별화를 낼 수 있을지를 가장 많이 고민했어요. 기존 뷰티 서비스들이 화려한 상품 이미지에 집중했다면, SLEB은 브랜드와 슬렙 메이트가 어떻게 협업을 시작하고, 어떻게 보상을 받는지라는 서비스 플로우에 더 집중했어요. 유저에게 가장 중요한 경험은 자신이 단순히 소비하는 데 그치지 않고, ‘자신의 추천이 새로운 가치를 만들어내고 보상받는 과정’을 경험할 수 있다는 점이에요. 그래서 “슬렙 메이트가 추천한 제품”이라는 칩과 배너를 곳곳에 배치해 눈에 잘 띄도록 했어요. 덕분에 사용자는 자신이 단순한 소비자가 아니라, 브랜드와 함께 가치를 만들어가는 파트너라는 인식을 자연스럽게 하게 돼요.

즉, SLEB은 브랜드에게는 운영 효율성과 확장성을, 유저에게는 리뷰 기반 수익 경험을 제공하는 새로운 형태의 뷰티 SaaS 플랫폼이에요. 디자인 역시 단순히 예쁘게 보이는 것보다, 브랜드와 슬렙 메이트가 서로 신뢰하고 협업하는 과정을 직관적으로 보여주는 데에 초점을 맞췄어요.

Development SLEB 서비스 기술의 중심에는 브랜드와 슬렙 메이트의 협업을 가능하게 하는 캠페인 관리 로직이 있어요. 단순히 캠페인을 등록하는 수준을 넘어서, 브랜드가 어떤 유저와 어떤 방식으로 협업할지를 구조화된 데이터로 정의할 수 있도록 설계했어요. 이를 위해 캠페인과 상품, 유저, 보상 간의 관계를 다대다 매핑 테이블로 구성해, 하나의 캠페인에 여러 상품과 유저가 유연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했어요. 또, 보상 정책 역시 캠페인 레벨에서 독립적으로 설정할 수 있게 하여, 브랜드가 기획전에 맞는 보상 구조를 자유롭게 설계할 수 있게 했어요.

Development 성과 분석은 지표 정의와 집계 방식이 핵심이었어요. 전환율, ROAS, CPC 같은 지표들은 단순 합산이 아니라, 이벤트 레벨에서 수집된 데이터(노출·클릭·구매)를 기준으로 가공되었어요. 예를 들어 전환율은 구매 이벤트 수를 클릭 이벤트 수로 나누어 계산하고, ROAS는 구매 금액 대비 광고 비용을, CPC는 총 비용 대비 클릭 수로 역산하는 방식으로 집계했어요. 이렇게 정의된 지표들은 ORM 쿼리에서 주기적으로 집계된 후 API로 전달되고, 대시보드에 반영되었어요.

시각화 단계에서는 유저 단위와 캠페인 단위의 두 가지 관점을 모두 지원했어요. 유저 단위에서는 특정 슬렙 메이트가 만들어낸 전환 효과를 비교할 수 있도록 하였고, 캠페인 단위에서는 전체 예산 대비 ROI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했어요. 이를 통해 브랜드는 단순히 “성과가 있었다/없었다”를 확인하는 것이 아니라, 어떤 유저·어떤 채널·어떤 보상 구조가 가장 효율적인지를 분석하고, 이후 캠페인 기획에 반영할 수 있는 정량적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게 되었어요.


,


,

컨시언스파트너스 ᅵ 대표 : 유승현 ᅵ cx@conscience.partners ᅵ 사업자등록번호 : 779-86-03107 ᅵ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유승현

본사 : 경기도 구리시 갈매중앙로 190, D동 402호 ᅵ  기업부설연구소 : 서울특별시 성동구 왕십리로 222, 한양대학교 코맥스타운

© 컨시언스파트너스 2024. All rights reserved

컨시언스파트너스 ᅵ 대표 : 유승현 ᅵ cx@conscience.partners ᅵ 사업자등록번호 : 779-86-03107 ᅵ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유승현

본사 : 경기도 구리시 갈매중앙로 190, D동 402호 ᅵ  기업부설연구소 : 서울특별시 성동구 왕십리로 222, 한양대학교 코맥스타운

© 컨시언스파트너스 2024. All rights reserved